김영익 주간경제 기업의 자금 부족 축소, 금리 하락 전망
페이지 정보
작성자 ETF Trender 작성일 19-04-08 10:11본문
기업의 자금 부족 축소, 은행 채권 매수 확대·금리 하락 전망
주간 주식시장 동향 및 주요 경제 이슈 (2019.4.8~2019.4.12.)
중국, 3월 수출입 동향 크게 개선 전망
김영익 (경제칼럼니스트, 서강대 경제대학원 교수)
1. 지난주(4월 1일~5일) 동향
(1) 글로벌 주식시장
- 중국 제조업 경기, 미국 고용 개선 등 일부 경제지표 호전으로 상승
<그림 1> 주요국의 주가 등락률 비교
(자료: Bloomberg)
(2) 한국, 3월 소비자물가
- 3월 소비자물가 전년동월비 0.4% 상승
- 올해 0.5% 상승 예상(한은 통화정책 목표치 2%를 훨씬 밑돌 전망)
- 시장금리 하향 안정 요인으로 작용
<그림 2> 한국, 소비자물가 상승률 안정
(자료: 통계청)
(3) 미국, 3월 ISM제조업 지수
- 55.3으로 2월(54.2)보다 소폭 상승, 지난해 10월 이후 감소 추세
<그림 3> ISM 제조업 지수와 주가
(자료: Bloomberg)
(4) 미국, 3월 고용동향
- 비농업부문에서 19.6만개 증가로 예상(17.7만 개) 상회
- 올해 1~3월 평균은 18.0만 개로 지난해(22.3만 개)보다 감소
<그림 4> 고용동향
(자료: Bloomberg)
2. 이번 주(4월 8일~12일) 주요 경제 이슈 및 전망
(1) 한국, 2018년 자금순환
- 기업의 자금 부족 규모 축소로 은행 채권 매수 확대, 금리 하락 전망
* 이에 대해서는 다음 글 참조
[김영익 경제칼럼] 저성장·저금리 시대의 도래와 금융자산 운용방향
<그림 5> 경제주체별 자금잉여(부족) 추이
(자료: 한국은행)
(2) IMF, 세계경제전망 보고서
- 지난해 10월 이후 세계경제성장률 전망치 하향 조정
<그림 6> IMF 세계경제 전망
(자료: IMF)
(3) 미국, 3월 소비자물가
- 물가 안정 추세 지속, 통화정책 완화 예상
<그림 7> 미국 소비자물가상승률 추이
(자료: Bloomberg)
(4) 중국, 3월 수출입 동향
- 7.7% 증가(컨센서스)로 2월(-20.8%)보다 크게 개선 전망
<그림 8> 중국 수출입 증가율 추이
(자료: Bloomberg)
3. 주간 금융시장 전망
- 주가: KOSPI, 2190~2250 변동 예상
- 금리: 국고채 3년, 1.73~1.76% 전망
- 환율: 원/달러 환율, 1125~1135원 예상
작성자 소개
-
-
ETF트렌드admin@etftrend.co.kr
댓글목록
등록된 댓글이 없습니다.