김영익 주간경제 통화정책 완화 기대감, 선진국 주가 상승
페이지 정보
작성자 ETF Trender 작성일 19-04-01 10:29본문
통화정책 완화 기대감, 선진국 주가 상승
주간 주식시장 동향 및 주요 경제 이슈 (2019.4.1~2019.4.5.)
한국, 가계와 기업의 경제심리 지수 위축 지속
김영익 (경제칼럼니스트, 서강대 경제대학원 교수)
1. 지난주(3월 25일~29일) 동향
(1) 글로벌 주식시장
- 통화정책 완화 기대로 선진국 주가 상승
- 그러나 한국, 일본 등 아시아 주요국 주가는 하락
<그림 1> 주요국의 주가 등락률 비교
(자료: Bloomberg)
(2) 한국, 3월 경제심리지수 위축
- 가계와 기업의 경제심리 지수 위축 지속
<그림 2> 경제심리지수 위축
(자료: 한국은행)
(3) 한국, 2월 산업활동동향
- 2017년 9월부터 선행지수순환변동치 감소세 지속
- 4월 이후 반등 예상되나, 그 폭은 크지 않을 전망
<그림 3> 동행지수 및 선행지수순환 변동치 하락세 지속
(자료: 통계청)
(4) 미국, 3월 소비자신뢰지수
- 3월 컨퍼런스보드 소비자신뢰지수 124.1로 전월(131.4)보다 하락
- 하반기로 갈수록 주가 조정과 더불어 소비심리도 위축 예상
<그림 4> 미국 주가와 소비심리
(자료: Bloomberg)
(5) 미국, 2018년 4분기 경상수지
- GDP 대비 2.6%로 확대 추세, 재정적자도 확대
- 미 정책당국, 달러 가치 하락 유도 예상
<그림 5> 미국 경상수지 및 재정수지 적자 확대 추세
(자료: Bloomberg)
(6) 미국, 2월 기존주택매매
- 금리 하락으로 주택경기 반등
<그림 6> 모기지 금리와 기존주택매매
(자료: Bloomberg)
(7) 미국, 1월 개인소비지출물가
- 연준의 통화정책 목표치(2%) 이하에서 안정
- 하반기 갈수록 경기 둔화, 물가 안정으로 금리 인하 압력 높아질 전망
<그림 7> 개인소비지출물가상승률 추이
(자료: Bloomberg)
2. 이번 주(4월 1일~5일) 주요 경제 이슈 및 전망
(1) 한국, 3월 소비자물가
- 올해 소비자물가상승률 1% 안팎에서 안정 전망
- 시장금리 하양 안정 요인으로 작용
<그림 8> 한국, 소비자물가 상승률 안정
자료: 통계청
(2) 미국, 3월 ISM제조업 지수
- 2월(54.2)과 유사 예상, 지난해 10월 이후 감소 추세
<그림 9> ISM 제조업 지수와 주가
(자료: Bloomberg)
(3) 미국, 3월 고용동향
- 비농업부문에서 17.8만 개 증가 예상
- 올해 1~3월 평균은 18.6만 개로 지난해(22.3만 개)보다 감소 예상
<그림 10> 고용동향
(자료: Bloomberg)
3. 주간 금융시장 전망
- 주가: KOSPI, 2110~2170 변동 예상
- 금리: 국고채 3년, 1.68~1.74% 전망
- 환율: 원/달러 환율, 1110~1140원 예상
작성자 소개
-
-
ETF트렌드admin@etftrend.co.kr
댓글목록
등록된 댓글이 없습니다.